종목추천이 아니라 공부하기 위함이니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쌍용정보통신 분석
매출 : 클라우드 33.89%, 클라우드 외 66.11%
(긍정적 요인) - * 관련기사 등 발췌
-2018평창동계올림픽 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와 웹사이트 서비스 구축과 운영 계약을 맺고 오는 2019년 2월까지 사업을 맡음. 총 285억 원 규모
-올초에는 농협(NH)의 통합 IT센터 통신인프라 구축 사업을 수주하기도 했다. 수주규모는 380억 원 수준으로 올해 말까지 1년 동안 진행되는 프로젝트
-국방사업과 공공사업부문에서 대규모 수주건을 진행하며 실적 반전을 꾀하고 있다. 이 중 지난 2011년과 2015년 수주한 '육군 과학화 전투훈련단 중앙통제장비체계 개발사업'과 '해군전술C4I체계 성능개량사업'의 경우는 수주규모가 각각 983억 원과 1162억 원인 대형사업
-쌍용정보통신은 수피아이티센홀딩스(운용사 수앤파이낸셜인베스트먼트)가 쌍용정보통신의 경영권 인수를 위한 잔금 지급을 완료해 본 투자를 원활히 마무리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수피아이티센홀딩스가 쌍용정보통신의 최대주주
-쌍용정보통신은 1981년 설립된 국내 1호 IT서비스 기업으로 국방과 스포츠, 네트워크 통합 등 분야에서 강점
-쌍용정보통신은 국방과 스포츠, 네트워크통합(NI)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다수의 해외 사업 레퍼런스를 가진 회사다. 평창 동계올림픽과 세계군인체육대회 등 각종 대회의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등 검증된 글로벌 스포츠 IT솔루션과 운영 능력을 보유
-국제품질인증모델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레벨4 인증도 재획득했다. CMMI는 카네기멜로대학교 SW공학연구소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개발한 연구개발 조직의 성숙도 평가 프로그램이다. 특히 레벨4는 전 세계 신청 기업 중 10%가량만 인증되는 것
-아이티센그룹계열 쌍용정보통신이 ㈜콤텍정보통신 인수를 통해 공공클라우드 사업 부문을 강화
-종합 IT기업 SGA는 쌍용정보통신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이뤄 약 82억원 규모 ’4세대 지능형 나이스 구축_응용SW개발 1단계’ 사업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
-쌍용정보통신은 신용평가 업체 이크레더블과 KT 금융보안데이터센터(FSDC)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을 체결
-아이티센그룹의 계열사 쌍용정보통신은 86억 원 규모의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방송 및 교육 인터넷 서비스 통합 운영 사업’을 수주했다고 1일 밝혔다. 기간은 21년 12월 31일 까지다. 쌍용정보통신은 2015년도부터 ‘EBS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이번 계약뿐 아니라 22년도 매출도 기대
-아이티센 그룹의 공공 SI·클라우드 전문기업 쌍용정보통신(010280)이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개선을 지원
-쌍용정보통신(010280)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과 손잡고 사업 역량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7일 쌍용정보통신은 KERIS와 ‘4세대 지능형 나이스 구축’(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2단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고객사를 두고 있는 쌍용정보통신은 최근 EBS의 방송·교육 인터넷 서비스 통합 운영 사업을 따냈습니다. 공공기관으로는 처음으로 EBS의 전체 IT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운영까지 총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쌍용정보통신은 ‘표준 개발 프레임워크’와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기술을 적용한 ‘클라우드 아키텍처 표준셋’ 구성을 완료
-클라우드 서비스 동시 국제인증은 국내 IT서비스 기업 중 유일[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쌍용정보통신(010280)은 클라우드 서비스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보안 역량 강화를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정보보안경영시스템(ISO27017), 클라우드 서비스 개인정보보안경영시스템 (ISO27018)을 모두 획득
-콤텍시스템이 아이티센으로부터 수피아이티센홀딩스의 지분을 사들이면서 쌍용정보통신을 종속회사로 편입
-아이티센(124500) 그룹의 클라우드 전문기업 쌍용정보통신(010280)은 비전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스누아이랩과 AI 플랫폼 전문기업 티쓰리큐와 공공부문 인공지능 사업과 관련해 업무협약(MOU)을 체결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품질관리 업체 와이즈와이어즈는 지난 11일 쌍용정보통신과 SI 사업 상호 협력 협약(MOU)
-쌍용정보통신(010280)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172억원 규모의 4세대 지능형 나이스 구축 2차 공급계약을 체결
-쌍용정보통신(010280)이 한국교육방송공사(EBS)와 112억 원 규모의 ‘EBS 방송 및 교육 인터넷서비스 통합 운영 사업’ 공급계약을 체결, EBS 고교강의 사이트(EBSi) 재구축 및 시스템 운영 효율성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환경 구축 및 패밀리사이트의 클라우드 통합·전환이 핵심인 사업
-쌍용정보통신(010280)은 클라우드 이노베이션(CI) 사업부문을 분할해 클로잇이라는 회사를 신설
-코로나19로 클라우드 전환 속도가 당초 예상 대비 4~5년은 빨라졌다"며 "클라우드 전환은 이제 피할 수 없는 세계적 흐름"
-쌍용정보통신의 클라우드 전문 기업 클로잇이 지난 17일 캄보디아 스포츠방송채널인 CSTV(대표 박성동)와 32회 캄보디아 동남아시아 게임의 IT운영시스템 및 주관방송 서비스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
-쌍용정보통신(010280)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341억8181만8182원 규모 정보시스템 통합유지관리 용역사업 계약을 체결
-아이티센그룹 계열사 쌍용정보통신이 협력사 11개 기업과 정부 클라우드 전환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SSC(SSangyong CLOUD)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쌍용정보통신은 행정안전부에서 2020년부터 추진하는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대전환 사업에서 현재까지 발주한 8개 사업 가운데 5개 사업을 수주
-쌍용정보통신이 1270억원 규모로 중견 정보기술(IT) 서비스 기업 수행 사업 중 역대 최대 규모인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나이스) 인프라 2단계 사업을 수주했다.
쌍용정보통신은 인프라 1단계를 비롯해 응용소프트웨어(SW) 1·2 단계 사업을 모두 수주하며 나이스 사업에서 강세
-쌍용정보통신(010280)은 50억원 규모를 수피아이티센 ICT 신기술투자조합 1호에 출자, 지분 45.45%를 취득하기로 결정
-MSP(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사업자)브랜드 엔클라우드24(운영주체 웰데이타시스템)가 쌍용정보통신과 손잡고 원활한 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을 뒷받침한다.최근 엔클라우드24(대표 맹상영) 측은 쌍용정보통신과 'SSC(쌍용 클라우드)' 사업협력 파트너십을 체결
-쌍용정보통신(010280)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407억원 규모의 4세대 지능형 나이스 구축(인프라 2단계) 계약을 체결
(리스크 요인)
- LG CNS가 육군 비체계 개발사업 공사지연 으로 인한 지체상금 구상금 청구 가능성
-기성대금 반환 소송 1심 패소로 충당 부채를 설정하면서 자본잠식률 30.7%를 기록. 이번 유상증자와 더불어 주식 분할과 무상감자 등으로 해소
- 주주배정 유상증자로 주가 희석
- 주식담보제공 계약 체결 결정 미공시 등 불성시공시 법인 지정
-아이티센이 두 달 전에 인수한 쌍용정보통신의 현금을 아이티센 계열사 위해 전방위적으로 활용하여, 재무 리스크 발생 우려
(평가)
- 국내 1호 IT 서비스 기업으로, 국방, 스포츠, 네트워크 통합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과 다수 해외 사업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음. 평창 동계올림픽, 세계군인체육대회, 농협 통신인프라구축, 육군, 해군 훈련체계 개량 사업, EBS 방송 서비스,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국민건강보험공단 시스템유지관리 등 대형 수주를 통해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음.
- 한앤컴퍼니로부터 수피아이티센홀딩스가 쌍용정보통신을 인수하면서, 공공 클라우드 분야에서 강점을 가지게 되었으며, 쌍용정보통신 인수로 솔루션부터 통합서비스에 이르는 IT서비스 벨류체인, 공공 및 금융, 국방, 제조 등 계열화까지 완성
- 국제품질인증모델 CMMI 레벨4 인증 재획득, 클라우스 서비스 국제인증 획득
- 인공지능솔루션 기업(스누아이랩, 티스리큐), 소프트웨어 품질관리(와이즈와이어즈)외에도 정부 클라우드 전환사업 수행을 위해 11개 기업과 SSC 파트너십 체결
- 기성대금 반환 소송, 개발사업 지연으로 인한 구상금 청구, 아이티센이 쌍용정보통신현금을 활용하는 등 재무 리스크가 다소 부각되고 있으나 독보적인 다양한 대형사업 수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동종 분야 업체와 파트너십을 통해 클라우드 분야 등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분야가 세계적 흐름으로 꾸준한 성장 기대됨. ‘중-상’으로 평가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후보 종목찾기(22.08.31) - 한국조선해양, 세원이앤씨, 메디아나 (1) | 2022.09.01 |
---|---|
투자후보 종목찾기(22.08.29) - 엔에프씨, 화승알앤에이, 세아베스틸지주 (2) | 2022.08.30 |
투자후보 종목찾기(22.08.29) - 에이트원, 푸른저축은행, 이엔플러스 (2) | 2022.08.29 |
투자후보 종목찾기(22.08.25) - 라온피플, 모나리자, 유틸렉스 (0) | 2022.08.26 |
거래대금상위(22.08.02) (0) | 2022.08.02 |